차차차

팀테스트드라이브 - 트레일 브레이킹

박서엔진 2021. 11. 3. 15:07

 

트레일 브레이킹과 일반 공도에서 활용에 관해 질문 입니다.
이효민

 

출처
https://www.testdrive.or.kr/qna/23374982016.02.15 11:55:29 (*.101.85.234)2139


코너 진입 전 브레이킹->코너 돌면서 브레이크 페달 풀면서 핸들 조향->CP 포인터 지나 가속

대충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목적은 횡 그립과 종 그립을 동시에 이용하므로써 적극적인 코너 공략의 기술로 알고 있습니다.

---  질문 --- 

120km 속도로 고속도로 완만한 코너를 달리때로 가정하겠습니다.

1.150km 속도로 달리다 코너전에 악셀 오프 후 자연 감속으로 120km 속도로 코너 도는 것

2.150km 속도를 달리다 코너 직전에 트레일 브레이킹 이용해서 코너 도는것

구지 1, 2번 경우가 아니더라도 어느게 더 안정적인 거동을 보여주는지요?

댓글2016.02.15 12:01:15 (*.101.85.234)
김동규
당연히 1번이죠 트레일브레이킹은 여차하면 날라갑니다


댓글2016.02.15 12:09:10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
날아가는 이유가, 브레이킹이 되기 때문에 중심 이동이 앞쪽으로가

앞쪽 그립력이 뒤쪽보다 월등해서 그런지요?

댓글2016.02.15 12:28:11 (*.101.85.170)
이동윤
네 하중이 앞으로 쏠려서 뒤쪽 그립이 부족해져서 그렇구요.
뒤가 날아가는 건 순식간이라 오버 스티어에 익숙하다고 해도 150km에서 트레일 브레이킹은 좀 위험하네요.
순식간에 리버스 스티어 먹고 벽으로 돌진할 수도 있구요.


댓글2016.02.15 12:37:19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로 좋은 공부 하고 갑니다.

댓글2016.02.15 12:24:53 (*.158.7.171)


강지현
profile애당초 전제하신 완만한 코너링이라면 트레일을 쓸 일 자체가 없습니다.
트레일은 브레이크를 늦게 밟기 위한 것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회두를 빨리시켜 재가속을 빨리하기 위함입니다.
풀브레이킹에서 몰아둔 하중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브레이킹을 남기는 것을 트레일이라고 하지, 코너링중에 브레이크를 밟는 것을 트레일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댓글2016.02.15 12:40:00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공도에서는 코너 진입전 직진 구간에서 정당한 브레이킹 그리고

핸들을 통한 방향 전환 (최대한 횡그립을 이용)이 가장 안정적인 거동이 될까요?

댓글2016.02.15 12:51:07 (*.101.85.170)


이동윤
저것만 따진다면 직진 구간에서 충분히 감속을 하고 코너링 중에 왠만하면 브레이크를 쓰지 않으면 됩니다.
가장 안정적인 거동이라.. 부드러우면서 빠르게 이걸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2016.02.15 12:26:41 (*.101.85.235)
이중곤
트레일 브레이킹은 기본적으로 언더-언더로 이어지는 전륜차량을 의도적으로 오버스티어로 유도하는 기술입니다.
그말은 곧 조금만 실수하면 차가 그냥 날아가는거죠.
트레일 시도하다 날아가면 사실상 대처가 힘듭니다.
공도에서는 트레일브레이킹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게 오래사는 지름길이라고 봐요.


댓글2016.02.15 12:40:58 (*.101.85.234)


이효민
상세한 답변을 통해 좋은 정보 배우고 갑니다 ^^ 

공도에서는 위험한 기술이군요 

댓글2016.02.15 18:34:41 (*.101.85.225)


이재범
일반도로 주행하실때는 서킷주행법은 사용하지 마세요~~~~

댓글2016.02.16 11:15:39 (*.101.85.234)
이효민
알겠습니다. ^^


공도에서 좀더 안정적인 코너 주행을 위해 이래 저래 찾다보니 이 기술도 적용 가능한가 싶어
올린 질문입니다.

댓글2016.02.15 21:10:50 (*.101.85.238)


정재훈
profile
위에 강지현님께서 잘 설명해주셨네요.

트레일 브레이킹은 풀브레이킹 후에 브레이크를 남겨둔 상태로 코너에 진입하는거고요.

트레일 브레이킹을 하시게 되면 그만큼 턴인 시점이 빨라지고 코너에 좀 더 높은 속도로 진입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2016.02.16 11:19:19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공도에서 코너는 진입전 충분히 감속 후 안전하게 도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걸

다시 한번 깨닫은것 같습니다.^^

댓글2016.02.16 15:30:46 (*.101.85.220)


최춘호
코너링의 가장 기본은 4바퀴 모두의 접지력을 잃지 않고 클리어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원스티어링 클리어가 가능해야 하구요. 이것이 가능하게 되면 슬립앵글까지 가는 거구요.

저도 써킷다니다 더이상의 랩타임 단축이 안되서 다시 처음부터 배우는 입장이라 리플 달면서 조심스럽습니다. ^^*

댓글2016.02.18 09:11:00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댓글 내용 중 원스티어링 클리어가 무슨 뜻인지요?

댓글2016.02.17 10:40:15 (*.101.85.236)


백석균
저도 초보지만 윗분들 말씀에 공감합니다
인제에서 랩타임 줄이려고 트래일브레이킹 하다가
마지막 코너에서 오버스티어 되고 카운터 치고
리버스 먹고 꿍 했습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직선 구간에서 감속 다 끝내고
코너링 하고 cp 지나면서 가속 인듯 합니다
가속 할때도 스티어링 풀리는 정도에 따라
완만하게 가속 해야 합니다


댓글2016.02.18 09:13:55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스킷은 한번도 가보지 못해 스킷 주행은 무지 합니다. ㅠㅠ

언제나 초점은 공도 주행인데...

감속->핸들 조작->가속 명심하겠습니다.^^

댓글2016.02.18 16:05:21 (*.101.85.236)


권기호
저도 차를 잘 못탑니다만, 브레이킹만 조금씩 달리해도 선회라인이랄까 안정감이 많이 차이 납니다 꼭 극하게가 아니더라도 브레이크를 끌었다 푸는 시점 (꼭 풀이 아니더래도) 굉장히 부드럽게 움직임을 컨트롤할수있다는 기분이 들거나 할때가 있습니다. 조금씩 안전하게 시도하면서 거동특성을 알아두는것은 재미있는 일인듯 합니다. 

댓글2016.02.18 17:33:29 (*.101.85.234)


이효민
답변 감사합니다.

탄력 받았다고 느끼는 시점에 훅 갈수 있어니 항상 안전운전 하세요^^

'차차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르쉐 박스터 차갤 평가  (0) 2021.11.10
출고 몇분만에 G80 박살  (0) 2021.11.09
세피아  (0) 2021.10.31
에디슨 모터스 문제점  (0) 2021.10.30
스팅어  (0) 2021.10.26